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 혜택 총정리
한부모 가족의 안정적인 생활과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에는 다양한 복지 혜택이 제공됩니다.
이 글에서는 주요 지원 내용과 변경사항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아동양육비 지원 확대
2025년부터 한부모가족을 위한 아동양육비 지원금이 인상됩니다.
- 저소득 한부모가족(중위소득 63% 이하): 자녀 1인당 월 23만원 지원 (2만원 인상)
- 청소년 한부모(만 24세 이하, 중위소득 65% 이하): 자녀 1인당 월 37만원 지원 (2만원 인상)
- 0~1세 영아가 있는 청소년 한부모 가구: 월 40만원 지원
지원금 인상은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자녀 양육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.
학용품비 지원 확대
2025년부터는 학용품비 지원 대상이 확대됩니다.
- 기존: 중고등학생 자녀 (약 1만 1천명)
- 변경: 초중고등학생 자녀 (약 2만 5천명)
이를 통해 더 많은 한부모가족 자녀들이 연간 9.3만원의 학용품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양육비 선지급제 도입
2025년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가 새롭게 도입됩니다.
- 대상: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의 18세 이하 자녀
- 지원 금액: 자녀 1인당 월 20만원
- 지원 방식: 정부가 양육비를 우선 지급하고 채무자에게 강제 징수
이 제도는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주거 지원 확대
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이 확대됩니다.
- 공동생활 가정형 매입임대주택: 326호 제공 (20호 증가)
- 한부모가족 복지시설: 입소 기준 완화 (인구감소지역 시설은 소득 무관 입소 가능)
- 무주택 저소득 조손가족: 입소 대상에 포함
취업 및 자립 지원
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.
- 여성새로일하기센터: 취업 상담 및 직업 훈련 제공
- 국민취업지원제도: 취업 지원 서비스 및 구직 촉진 수당 지원
- 자립준비금 공제제도: 시설 입소 한부모의 자립 지원
임신·출산 지원
한부모의 임신과 출산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도 제공됩니다.
-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: 국민행복카드를 통한 의료비 지원
-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: 출산 후 건강 회복 지원
- 미혼부 지원: 자녀 출생신고 및 건강보험 신청 절차 안내
금융·법률 지원
경제적, 법적 어려움을 겪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도 마련되어 있습니다.
- 저금리 미소금융 및 소액보험 지원: 생계·의료급여 대상이 아닌 경우 보험료 전액 지원
- 양육비 이행지원 서비스: 양육비 추심 및 상담 제공
- 무료 법률구조 서비스: 법적 문제에 대한 무료 상담 및 소송 지원
2025년 예산 증액
2025년 한부모가족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60억 원(8.5%) 증가한 5,901억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.
이는 정부의 한부모가족 지원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, 더 많은 가족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신청 방법 및 문의
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여성가족부
-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홈페이지 한국건강가정진흥원
- 가족센터 누리집 가족센터
- 가족상담전화(☎1577-4206) 또는 가족센터(☎1577-9337)
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는 한부모가족의 생활 안정과 자립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
해당되는 가족들은 이러한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
댓글
댓글 쓰기